공부 잘하는 방법, 성공하는 방법을 묻는 분들이 많다. 이건 한국사람만 그런게 아니다. 필자는 황인, 유색, 백인, 흑인 등 거의 모든 인종과 30개국이상의 사람들을 컨설팅 고객으로 두고 있는데, 이들 모두가 자녀의 사주를 볼 때 꼭 묻는 바가 바로 공부를 잘 하겠는지와 공부를 잘 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 이들 중 한분이 필자에게 아래의 TED동영상을 보내주셨다. 그땐 자막이 달려있지 않는 동영상이라 그냥 대충보고 넘겼는데, 얼마전 페이스북을 보다가 자막이 달려있는 이 동영상을 다시 보고는 그 분이 이 동영상을 보내주신 이유를 알 수 있었다. 한번 보시라...
[TED 명강의]성공의 열쇠는 IQ가 아닌 '기개(GRIT)'다.
낯선 단어다. 기개, GRIT가 성공하는 사람, 제대로 공부하는 사람의 열쇠라고 하는데, 한국말로 기개는 '
'컨설팅사례보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속궁합 .. 좋은게 좋은걸까? (6) | 2016.09.02 |
---|---|
운동선수의 사주를 보면 메달 못따는 건 무지때문이다. (2) | 2016.08.18 |
공부 잘하고 성공하게 하는 인자, 성공의 열쇠... 기개, GRIT (8) | 2016.08.17 |
잘났으면 잘났다고 알리고, 뭘 잘하면 잘한다고 알려라! 그러면 잘산다. (1) | 2016.08.13 |
사주와 불확정성의 원리 (8) | 2016.07.19 |
해외유학... 자신에게 맞는 지역으로 가야 성공한다. (10) | 2016.07.10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사주명리학이 위대한 건 정말 맞는 것 같습니다. 서양의 심리학을 이렇다 저렇다 할 수는 없지만 어쨋든 그 경험치의 역사나 해결론적 방법 등등을 비교하더라도 동양의 사주명리학만큼의 과학성,정확성을 따라오려면 말씀하신 시간의 틀을 얼마나 거쳐야 할까요? 또 거친다한들 내용적 측면을 견줄 수 있을까 싶네요... 단, 제대로 존재하는 사주명리학을 얼마나 제대로 아는가가 문제이겠지만요.. 참 재미있어요..제가 모른다 하더라도 객관적 가치가 있다는게 재미있고요 또 제가 알아가는 것도 재미있고요... 아직은 너무나 조족지혈이지만요...^^
좋은 글, 영상 감사합니다
다시 한 번 무릎을 탁 치고 갑니다ㅎㅎ 사주명리학과 인간의 삶은 참 보이지 않게 가까운 것 같습니다.. 일화를 소개하자면 저의 지도교수님이 자네의 학생으로서의 장점은 느긋함이야라고 말했습니다. 저는 그 이야기를 듣고 게으르고 급한 것없다는 뜻인가 했었던 적이 있었죠... 이런저런 자세한 이야기를 듣고 공부를 하는 사람에게 있어서 느긋함이 왜 장점인지 알게되었죠... 근데 TED영상에서도 그 이야기를 하는군요. Grit은 교수님께서 말씀하신 느긋함과 일맥상통했습니다 .실패해도 포기하지않고, 다시 나의 길을 뚜벅뚜벅 목표를 향해가는 것, 결과물을 당장은 내지 못하더라도 믿음을 가지고 자신을 갉아먹지 않고 계속 정진해야하는 것이 학자로서의 장점이라고 말씀해주신 것였습니다... 근데 그것이 미국에서는 grit이라는 표현이었고, 사주명리학적 관점에서는 인성이지 않나 싶네요...ㅎㅎㅂ
근데 재미있는건 저는 인성을 어떻게 획득했을까요..?ㅎㅎㅎ 선생님과의 만남에서 저에게 인성인자는 있다고 이야기를 못 들은 것 같은데요.... ^^
비밀댓글입니다
인성이 없다고 말씀드렸다면 운에서 들어온 인성을 사용하고 계실 가능성이 크겠네요. 인간은 사실 운따라 사는게 제일 편합니다. 인성운에선 공부하고 익히고 관운에선 말 잘듣고 있다가 재운에서 나서서 돈을 버는 거죠.^^
대운 10년에서, 천간에는 재운이 들어오고 지지에는 인성운이 들어오면, 돈벌어야 하나요? 아니면 공부해야 하나요? 초보적 질문 드려봅니다.
천간은 생각, 지지는 환경이라는 대전제를 두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일단 천간에 재가 들어왔다면 돈에 관한 생각이나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한 불안으로 미래를 확실하게 만들 플랜을 가지려 합니다. 현실이 인성이라는 말은 공부도 되지만 인성의 인자는 자격인자, 기술인자, 계약인자이기 때문에 이미 자격이 있다면 자격증을 써서 돈버는, 기술이 있다면 기술로 돈버는, 계약하는 일또는 부동산으로 돈버는 일을 하게 됩니다. 아무것도 없다면 돈벌 계획으로 공부를 하게 되겠죠.
답변 달아주시니 정말 고맙습니다. 천간의 생각을 위해, 지지라는 환경을 이용하거나 그 환경속에서 움직이겠군요. 그런데 그 움직임의 성패는 어떻게 알 수 있는지요. 전에 상담드렸을 때, 제가 처한 환경(대운)이 좋지 않다고 말씀하시면서 이민을 권하셨죠. 일의 성패는지지로 보면 되나요? 선생님이 말씀하신대로 남자는 본래 양의 기운이라 음의 기운이 필요한데, 양의 기운으로 대운이 계속되기 때문에, 지지의 환경을 바꾸기 위해 이민가야한다고 단순하게 이해해도 되겠습니까? 그렇다면, 신강 신약 용신 희신, 모두 쓸모없는 개념이겠네요. 선생님 글 읽다보니, 명리를 공부하고 싶어집니다. 기회가 닿으면 어떤 인자가 있어야 사주를 공부할 수 있는지 글 부탁드립니다.
경기를 한다고 다 이기는게 아니듯 운이 들어왔다고 해서 그 운을 다 받는건 아닙니다. 그때 제가 가장 중요하게 보는건 음양입니다. 사람이 육지에서 뭘하면 그냥 하면 되지만 고산지대로 올라가거나 바닷속으로 내려가면 장비가 필요합니다. 음양이 맞다면 그냥하면 되지만 맞지 않으면 장비를 대신할 무언가의 액션이 필요해집니다. 사실 하기 힘들어지는거죠. 그러니 그냥 반대편으로가서 음양을 바꿔버리는게 가장 쉬위니 가능하다면 이민을 첫번째로 권해드리고 그게 안된다면 그래도 장비착용에 버금가는 다른 액션으로 살아가는 방법을 알려드리는 겁니다. 사주를 공부할 수 있는 대운은 그냥 공부대운인 인대운이 가장 적합하실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