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甲 - 첫 번째 천간天干
 사주팔자 내에 갑이 있을 경우와 갑일간에 대한 설명

 

 

 


 

 

 

갑甲은 오행五行 중 양陽의 목木에 해당하며 열개의 간지干支 중 첫 번째 간지다. 위에 먼저 쓰는 간지라서 하늘 천天자를 붙여 천간天干이라고 한다. 22 간지는 자연현상을 관찰하고 인간도 자연의 일부이기에 인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구로 도입된 것이므로 간지를 처음 접할 때 가장 먼저 생각해야 할 점은 자연의 어떤 부분에서 이 간지를 가져왔는가 하는 점이다.

 

갑甲이 첫 번째 간지라는 힌트에서 출발하면 쉽다. 첫 번째라는 건 시작이라는 의미다. 새싹이 나는 것.. 그것이 이 갑이다. 처음이기에 그러하다. 또 첫 번째는 가장 먼저라는 의미도 있다. 그래서 해가 떠오르는 하늘이 밝아오는 새벽이 갑이다. 계절의 시작인 봄도 당연히 갑이다. 그리고 첫 번째라는 건 가장 빠르다는 의미도 가진다. 또 가장 먼저라는 의미도, 가장 높다라는 의미도 가진다. 그래서 가장 빠르게 서두르는 사람은 갑을 가지고 있을 것이고 가장 먼저를 주장하는 사람도 갑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가장 높은 쭉 뻣어올라간 나무도 갑이라고 한다. 요즘 언론에서 갑질이 어떻고 을이 어떻고 하는 기사가 많이 보인다. 그때의 갑도 이 갑이다. 먼저이고 우위이고 앞서고의 의미인 것이다.

 

 

 

 

갑甲이 사주팔자에 있을 경우

 

갑甲은 오행五行의 목木 중에서도 양陽에 속하는 목木이다. 甲을 가장 상징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자연현상은 새싹이 돋는 장면이다. 특히나 겨우내 언 땅을 뚫고 나오는 새싹은 갑甲 그 자체라 할 수 있다. 10 천간 12 지지 중 가장 파워 있는 글자가 바로 이 갑甲인데, 그 이유는 화기火氣가 없는 겨울 내내 토土와 수水가 얼려서 쇠처럼 단단하게 만든 땅을 뚫고 올라오는 것이 뜨거운 화火나 단단한 금金이 아닌 약하고 부드러운 새싹 갑甲이기 때문이다. 모든 오행과 22 간지를 이기는 파워를 갑甲이 가지고 있는 것이다.

 

갑甲은 밝음이다. 그러니 갑甲을 가진 사람이 어둡다면 문제가 있는 삶을 살아왔거나 지금 문제가 있는 상황이라 읽어야 한다. 년, 월, 일, 시에 어디에 갑이 있더라도 아래와 같은 생각과 성향을 가지게 된다.  갑甲이 있는 사람에게는 일직선으로 쭉 뻗은 차가 없는 도로를 내 달리는 느낌을 받는다. 갑甲은 직진성이다. 내 앞에 아무도 없기 때문에 내가 최고 같아 느껴지고, 보이는 것들 마다 새롭고 신선하며, 잠시 후엔 어떤 풍경이 펼쳐질까 궁금하다. 그래서 또 계속 달린다.

 

갑甲이 있는 사람은 밝고 착하고 여유롭다. 하지만 누군가 자길 추월하는 것을 보면 여유는 사라지고 괜히 자존심이 상해 ‘니가 뭔데 날 앞서가?’하는 사람을 무시하는 기질이 드러난다. 아닌 사람도 있다고? 그건 잘 죽이고 살고 있으니 다행인 거다. 하지만 이런 사람은 너무 죽이고 살아서 문제라고 읽어야 한다. 언제 그 기질이 폭발할지 몰라서다.

 

사주에 갑甲자가 있는 자체로 다음 문장과 단어가 이 사람의 성격과 직업을 정하는데 작용하게 된다. 고집 있다, 독선적인 우두머리다, 책임자다, 돌진한다, 속은 여리다, 젖을 더 먹어야 한다, 든든해 보인다, 목재나 가구에 관심 있다, 뭐든 키우는 걸 좋아한다, 알리고 싶어 한다, 챙김을 받는 걸 좋아한다, 세워 올리는 업에 종사한다, 건축업에 종사한다, 가르치는 업에 종사한다, 반복해서 주기적으로 새로운 걸 만들어 내는 일에 종사한다.  신문, 잡지, 출판계 등에 종사한다. 작가다.

 

갑甲의 사주 해석은 합판, 약육, 유아, 나무, 대들보, 목재, 가구, 농업, 원예, 과일, 섬유, 종묘, 건축업, 조림, 과수 등이며, 곡직曲直직물로 직진하고 굽어지는 모든 것은 갑목甲木이므로 사주팔자에 있다면 그렇게 해석한다.

 

갑甲이 두 개 이상 있으면 유연성이 거의 없는 까닭에 주변 사람들이 힘들어해서 떠나기 때문에 고립되는 경향이 심하게 발생하니 유연함을 가질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갑甲은 신체 중 담(쓸개)과 머리뼈다.

 

 

 

 

갑甲이 사주팔자에 없을 경우

 

갑甲이 없다는 것은 봄이나 아침이 없는 것과 같으니 생기가 없다. 무언가를 시작하려는 마음이나 긍정적인 생각이 부족하며 적극적이고 진취적인 행동도 기대하기 어렵다. 새로움이나 시작이 없으니 기획이나 발상도 약하다. 갑甲은 목木이므로 목木이 없다는 것은 사주팔자에 화火를 가지고 있다고 해도 화火의 에너지 공급원이 없는 것이고, 토土를 가지고 있다고 해도 목木의 자극을 받지 못하니 긴장감이 없어 할 일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된다.

 

 

 

 

갑甲일간일 경우

 

양목陽木으로 인仁에 해당한다. 어질고 인자함이 갑甲일간의 주요 작용력이다. 양목陽木이라 나서서 행하는 면이 있다. 너무 강하면 다른 10간들도 그렇듯이 고집이 세고 속이 좁고 욕심이 많은 편이라 남을 이해하기보다는 무시하는 기질이 있다. 이러한 마음이 잘못되면 따르는 자 없이도 스스로 우두머리가 되고자 하니 홀로 세상사를 원망하기만 한다.

 

일간의 힘이 적당하거나 강하면 성격이 원만하여 포용력이 있고 측은지심이 발휘되는 면이 강하다. 책임감이 강한 편이라 나서는 기질이 있어서 약자를 보살피는 면이 많다. 너무 약하면 모든 다른 일간과 마찬가지로 자신감이 결여되고 추진력이 없어서, 일은 잘 시작하면서도 끝맺는 면이 부족하게 된다. 어진 마음인 인仁이 약한 것이니 남에게 항상 원조를 기대하게 된다.

 

-꽁꽁 언 땅, 단단한 나뭇가지를 초봄에 뚫고 나오는 생명력이자 어린 새싹의 기운이다. 연약하고 순진하지만 강력한 힘이 있다.  힘차고 곧게 일직선으로 쭉쭉 뻗어나간다.

-앞장서는 것, 빠른 것, 1등, 우두머리를 좋아한다.

-나 중심의 사고로 남을 위한 배려가 부족하다. 무뚝뚝하고 경직된 맛이 있으며

 우쭐대고 뽐내는 것을 좋아하고 소유욕이나 욕심이 많다.

-내실보다 앞서는 것을 좋아하니 하는 일에 금방 싫증내고 뒤처리는 생각지 않는다.

-마음속 생각이 행동으로 나타나니 얼굴에 그대로 드러난다. 비밀이 없다.

-갑甲은 어린아이처럼 순진하고 천진난만하다. 봄철의 새싹인 것이다.

-쉽게 친해지지 않지만 한번 친해지면 변심하지 않는다. 그래서 어릴 적 친구가 오래가는 것이다.

-외모는 단정하지만 약간 경직되고 뻣뻣한 느낌을 준다. 소나무를 생각하라.

-직선적, 적극적, 앞으로 나아가려는 성향이다.

-2개, 3개 있으면 갑목甲木의 성질이 더 강해진다.

-3개 있으면 추진력이 더욱 강해진다.

 

갑甲이 제일 좋아하는 천간은 부드러운 기토己土다. 그래서 갑기합甲己合 토土가 된다. 이 합을 중정지합中正之合이라 하는데 지상의 목과 땅의 토가 만난 가장 이상적인 합이다. 합은 뒤에 다시 설명한다.

 

 

 

 

갑甲일간의 건강

 

봄에 태어나고 활발하면 담석증에 걸리기 쉽다.

가을에 태어나면 금金이 극하므로 신경성 질환이 있으며, 중풍을 주의해야 한다. 또 두통, 우울증으로 고생하는데 원인은 담이  약해지면 어혈로 인해 머리뼈 쪽 신경까지 약해지기 때문이다.

여름에 났으나 찬기운이 약하면 건조하고 메마르게 되니 고혈압을 주의해야 하고, 중풍에 대비해 수분 섭취와 스트레칭을 해주어야 한다.

겨울에 났으나 화火기가 없으면 냉병이나 비염에 약하다.

                

 

 

 

 

by 이동헌 - leedongheon.com

 

 

 

10 천간과 12 지지

 사주명리학의 기본 글자이다. 합해서 22 간지라고 부른다

 

 

 

 

 


명리학자들이 사주명리학의 표현방식인 10 천간天干 12 지지地支를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 목木은 나무, 화火는 불, 토土는 흙, 금金은 금속, 수水는 물이라고 예를 든다. 이렇게 예를 들어서 설명하는 건 완전히 맞지도 틀리지도 않지만 중요한 점은 말 그대로 예를 든 것일 뿐 실제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가 나무, 불, 흙, 금속, 물이 아니란 점이다. 인간의 삶 속에서 볼 수 있는 상징적인 것을 예로 듦으로써 쉽게 이해시키기 위함이니 명사 자체보다는 그 물질이 가지는 성질에 주목해야 한다. 그 물질이 가지는 성질을 이해하면 22 간지에 대한 이해가 쉽게 된다. 필자가 말하는 22 간지에 대한 설명은 자연 속에서, 인간의 삶 속에서 22 간지가 어떻게 작용되고 있는지 알려드리고 그 작용력에 대한 이해 돕는 데 있다. 이에 대한 이해가 되지 않아서 아예 산속에 들어가 사는 사람이 있을 정도로 사주명리학을 공부하기 위한 필수적인 포인트가 바로 22 간지이다. 그러니 22 간지가 현상에서 어떤 모습이고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이해하게 되면 22 간지를 통해 모든 자연현상을 설명할 수 있게 되고, 그래야 비로소 22 간지를 안다고 말할 수 있다.

 

천간天干은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의 10글자를 말하는 것으로 인간의 생각, 머릿속, 사상思想 등이라 읽는다. 주로 그 사람의 정신적인 면 나타낸다. 꿈, 이상, 꼼수, 마음 등이라 표현할 수도 있다. 갑甲과 을乙은 오행五行에서 목木에 해당하며, 병丙과 정丁은 오행五行에서 화火에 해당하고, 무戊와 기己는 오행五行에서 토土에 해당하며, 경庚과 신辛은 오행五行에서 금金에 해당하고, 임壬과 계癸는 오행五行에서 수水에 해당한다. 천간天干 오행五行에도 음양陰陽이 있어 갑甲, 병丙, 무戊, 경庚, 임壬은 양陽에 속하고 을乙, 정丁, 기己, 신辛, 계癸는 음陰에 속한다.

 

천간天干이란 사주팔자四柱八字를 배열할 때 위쪽에 놓이는 글자이다. 4글자 중 일간을 제외한 3칸을 갑甲을乙병丙정丁무戊기己경庚신辛임壬계癸의 10개 글자 중 3글자가 중복에 관계없이 채우게 된다. 천간의 의미를 사주에 대입해 읽는 방법은 앞에서 10개의 갑자 중 하나의 갑자를 가진 사람이 년간年干에 해당하는 생각, 월간月干에 해당하는 생각, 시간詩干에 해당하는 생각을 가지고 살아간다고 읽으면 된다. 그리고 20대 이전에는 년간年干에 해당하는 생각이 가장 강력하게 삶을 지배하며, 40대까지는 월간月干의 생각이, 60대 이후엔 시간詩干의 생각이 삶을 지배하며 40~60대와 인생전반은 일주日柱(일간日干과 일지日支)가 삶을 지배한다고 적용하면 된다. 비록 천간이 네 글자뿐이지만 그 구성만으로도 그 인간의 성향性向을 정확하게 읽어낼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천간만 보고 사주를 보는 방법이 양팔통陽八通과 음팔통陰八通의 구성을 가진 경우다. 네 글자가 모두 양陽인 갑甲, 병丙, 무戊, 경庚, 임壬으로 구성되면 양팔통陽八通 사주라고 하고, 네 글자가 모두 음陰인 을乙, 정丁, 기己, 신辛, 계癸로 구성되면 음팔통陰八通 사주라고 한다. 필자는 양팔통陽八通은 화이트홀, 음팔통陰八通은 블랙홀이라고 별명을 붙이는데, 그만큼 펼치는 발산發散과 움츠리는 수렴收斂의 특성特性을 보이게 된다.

 

지지地支란 사주팔자四柱八字를 배열할 때 아래쪽에 놓이는 글자이며, 주로 그 사람의 현실적인 면과 계절, 자연, 흐름, 컨디션을 나타낸다. 인간은 천간 4글자가 가진 꿈, 이상, 생각, 꼼수, 마음 등을 실현하면서 살고 싶지만 현실적으로는 지지 12자가 만들어 놓은 현실 때문에 제대로 자신의 이상을 구현하지 못하는 슬픔을 안고 살아가게 된다.

 

지지를 사주에 대입해 읽는 방법은 앞에서 서술한 60개의 갑자 중 하나를 가진 사람이 년지年支에 해당하는 현실과 행동, 월지月支에 해당하는 현실과 행동, 시지時支에 해당하는 현실과 행동 속에서 살아간다고 읽으면 된다. 그리고 20대 이전에는 년지年支에 해당하는 현실과 행동이 가장 강력하게 삶을 지배하며, 40대까지는 월지月支의 현실과 행동이, 60대 이후엔 시지時支의 현실과 행동이 삶을 지배하며 40~60대와 인생전반은 일주(일간과 일지)가 삶을 지배한다고 적용하면 된다.

 

 

 

 

by 이동헌 - leedongheon.com

 

오행五行
 사주명리학이 기본이론이자 동양철학의 베이스 사상인 오행에 대한 이야기

 

 

 

 

오행五行이란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 다섯 가지 요소를 말한다. 사주명리학은 열 개의 천간과 열두 개의 지지를 음양과 오행으로 분류하고 그 상호 작용력을 읽어 사람의 운명을 예측하는 학문이다. 그러므로 음양은 사주명리학의 형이상학적 기초라 할 수 있고, 오행은 사주명리학의 형이하학적 기초라 할 수 있다. 동양문명東洋文明에서는 우주宇宙 삼라만상森羅萬象이 오행에 의해 이루어졌다고 믿어 왔으며, 모든 세상사가 오행의 작용력으로 돌아간다고 믿어 왔다. 오행을 통한 설명은 목, 화, 토, 금, 수를 사물 그 자체라고 생각하는 원시적인 것에서부터 현상적인 모델이라는 실질적인 생각까지 다양하다.

 

연해자평淵海子平은 오행의 발생發生을

‘태양太陽, 수水를 생生하고,

태초太初, 화火를 생生하고,

태시太始, 목木을 생生하고,

태소太素, 금金을 생生하고,

태극太極, 토土를 생生했다.’

라고 설명하고 있으나, 성리학性理學의 교과서敎科書로 불리는 사서삼경四書三經의 역경易經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는 말을 믿는 사람이 더 많다. 아무래도 성리학이 발달한 조선시대를 지나면서 ‘명리학보다는 성리학에 속한 서적을 더 신뢰할 수 있다.’라는 기저의 생각 때문일 것이다.

 

역경에서는 화火를 태양太陽에서, 목木을 소양少陽에서, 수水를 태음太陰에서, 금金을 소음少陰에서 유래했고, 토土는 이 모든 것을 포함한 것이라고 말한다. 역경은 주역周易을 베이스로 하기 때문에 사실 사주명리학과는 적용면에서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지만, 어차피 주역에서 사주명리학의 십간, 십이지가 파생된 것이므로 광의廣義적으로 음양학의 관점에서는 위와 같이 봐도 무방하다고 생각한다.

 

10개의 천간과 12개의 지지는 각각의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그 특성 중 오행인 목, 화, 토, 금, 수에 속하는 특성으로 나누어 이해하면 이해도 쉽고 적용도 쉽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음과 양의 변화 순서, 목, 화, 토, 금, 수의 변화 순서, 그리고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10 천간과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12 지지의 변화 순서가 일정하고도 반복적으로 자연계에서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 일정하고도 반복적으로 변하는 것을 가장 명료하게 관찰할 수 있는 구분이 이 오행의 변화이므로 사주명리학에서 오행이 아주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지만, 또 한편으로는 너무 명료함으로 인해 너무 쉽게 사주명리학을 이해하려는 시도들이 사주명리학이 산으로 가게 하는 원인을 제공하기도 한다.

 

목木은 방향方向으로는 동東쪽에 해당하고, 계절季節로는 봄이며, 하루로 치면 새벽에 해당하고, 기운氣運적으로는 생기生氣이며, 색色으로는 청색靑色, 성질性質로는 인仁에 해당한다.

 

화火는 방향方向으로는 남南쪽에 해당하고, 계절季節로는 여름이며, 하루로 치면 오전午前과 정오正午에 해당하고, 기운氣運적으로는 왕기旺氣이고, 색色으로는 적색赤色, 성질性質로는 예禮에 해당한다.

 

토土는 방향方向으로는 중앙中央에 해당하고, 계절季節로는 환절기換節期이며, 하루로 치면 대낮에 해당하고, 기운氣運적으로는 둔기鈍氣이고, 색色으로는 황색黃色, 성질性質로는 신信에 해당한다.

 

금金은 방향方向으로는 서西쪽에 해당하고, 계절季節로는 가을이며, 하루로 치면 오후午後와 저녁에 해당하고, 기운氣運적으로는 숙살지기肅殺之氣이고, 색色으로는 백색白色, 성질性質로는 의義에 해당한다.

 

수水는 방향方向으로는 북北쪽에 해당하고, 계절季節로는 겨울이며, 하루로 치면 밤에 해당하고, 기운적으로는 사기死氣이고, 색色으로는 흑색黑色, 성질性質로는 지智에 해당한다.

 

오행五行은 각각의 요소가 고정된 것이 아닌 서로서로 ‘생극生剋’과 ‘왕쇠旺衰’라는 상호 작용력을 가진다. 앞에서 오행의 변화 순서가 일정一定하고도 반복反復적이라고 말했는데, 그 순서를 따를 경우 상생相生이라 말하고, 그 순서를 뛰어넘을 경우 상극相剋이라고 말한다.

 

상생相生... 목木이 화火를, 화火가 토土를, 토土가 금金을, 금金이 수水를, 수水가 목木을 생生한다. 정리하면 목생화木生火, 화생토火生土, 토생금土生金, 금생수金生水, 수생목水生木이라 외우고 적용하면 된다.

 

상극相剋... 목木이 토土를, 화火가 금金을, 토土가 수水를, 금金이 목木을, 수水가 화火를 극剋한다. 정리하면 목극토木剋土, 화극금火剋金, 토극수土剋水, 금극목金剋木, 수극화水剋火이라 외우고 적용하면 된다.

 

계절에 따라 오행五行 각각은 왕성旺盛해지기도 하고 쇠약衰弱 해지기도 한다.

 

목木은 봄인 목국木局 인묘진寅卯辰 월月에 가장 왕성旺盛하고, 겨울인 수국水局 해자축亥子丑 월月에도 수생목水生木하여 왕성旺盛하다. 여름인 화국火局 사오미巳午未 월月에는 화火가 왕旺하는 계절이므로 화火에게 생기生氣를 빼앗겨 쇠퇴(衰頹)하게 되며, 가을인 금국金局 신유술申酉戌 월月에는 목木을 극剋하는 금金이 가장 왕성旺盛한 계절이므로 가장 쇠약衰弱 해진다.

 

화火는 여름인 화국火局 사오미巳午未 월月에 가장 왕성旺盛하고, 봄인 목국木局 인묘진寅卯辰 월月에도 목생화木生火하므로 왕성旺盛하다. 가을인 금국金局 신유술申酉戌 월月에는 금金이 왕旺하는 계절이므로 금金에게 생기生氣를 빼앗겨 쇠퇴衰頹하게 되며, 겨울인 수국水局 해자축亥子丑 월月에는 화火를 극剋하는 수水가 가장 왕성旺盛한 계절이므로 가장 쇠약衰弱 해진다.

 

토土는 환절기換節期인 축진미술丑辰未戌 월月에 가장 왕성旺盛하며, 여름인 화국火局 사오미巳午未 월月에도 왕성旺盛하다. 가을과 겨울에는 쇠약해지며 봄에는 가장 쇠약하다.

 

금金은 가을인 금국金局 신유술申酉戌 월月에 가장 왕성旺盛하고, 환절기換節期인 토국土局 축진미술丑辰未戌 월月에도 토생금土生金하므로 왕성旺盛하다. 겨울과 봄에는 쇠약해지며 화극금火剋金하므로 화국火局인 여름에 가장 쇠약하다.

 

수水는 겨울인 수국水局 해자축亥子丑 월月에 가장 왕성旺盛하다. 금생수金生水하므로 생生함을 받는 가을에도 왕성旺盛하다. 생기生氣를 주는 목국木局 봄에는 쇠약해지며, 극함을 주고받는 여름과 환절기에는 가장 쇠약하다. 환절기의 건조함에서 관찰할 수 있는 부분이다.

 

 

 

by 이동헌 - leedongheon.com

 

음양陰陽
 사주명리학에서 가장 중요한 음양에 대한 이야기

 

 

 

 

 

 

음양陰陽은 음陰과 양陽을 함께 부르는 말로 만물의 근본을 이루는 원소이자 단위다. 모든 만물은 음陰과 양陽으로 이루어진다. 우리는 이것을 학교교육에서 이미 배워서 알고 있다. 과학에서 입자의 최소 단위를 플러스[+]와 마이너스[-] 전자로 규정하고 있으니 말이다. 그리고 현대사회에서 없어서는 안 될 컴퓨터의 연산 방식 역시 이 2진법에 의하고 있는 점도 음양陰陽의 이분二分방식이 태고 때나 지금이나 변함없는 만물萬物의 기본 존재 단위임을 확인시켜 준다. 사주명리학에서의 음양은 단순히 플러스, 마이너스보다 좀 더 중요하고 복잡하게 사용된다. 그래서 이 음양만 알아도 사주를 볼 수 있다. 사실 음양 얘기는 몇 달 밤을 새우면서 해야 할 정도로 방대하고 광범위하지만 일단은 기본적으로 딱 정의되는 부분만 설명하고 넘어가려 한다.

 

음陰은 물질적으로는 ‘비어있음’이며, ‘비교해서 적음’이기도 하다. 온도로는 ‘차가움’이며, ‘비교해서 낮음’이기도 하다. 습도로는 ‘습함’이며, ‘비교해서 더 습함’이기도 하다. 계절적으로는 ‘가을, 겨울’이며, 시간적으로는 ‘태양의 영향을 받지 않는 밤’이다. 혼자 존재할 수 없기 때문에 ‘비교해서’란 전제가 음의 의미를 더 확실하게 해준다. 방향적으로는 '안쪽'이며 '접음, 흡입, 가만있음'이다. 행동으로는 음陰은 '생각함'이다. 이러한 음의 의미는 사람의 사주팔자 내에서 성격적, 행동적으로 작용한다. 그렇다면 사주팔자에 음陰이 많은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 차가운 사람이고 추위를 잘 타는 사람이고 가만히 있는 사람이고 생각 많은 사람이다. 음양陰陽만으로도 그 사람의 기본 특성이 파악이 되는 것이다. 또 운에서 음陰의 운이 흐르면 마찬가지로 음의 특성이 나타남을 읽으면 되는 것이다.

 

양陽은 물질적으로 ‘채워짐’이며, ‘비교해서 많음’이기도 하다. 온도로는 ‘따뜻함’이며, ‘비교해서 높음’이기도 하다. 습도로는 ‘건조함’이며, ‘비교해서 더 건조함’이기도 하다. 계절적으로는 ‘봄, 여름’이며, 시간적으로는 ‘태양의 영향을 받는 낮’이다. 혼자 존재할 수 없기 때문에 ‘비교해서’란 전제가 양의 의미를 더 확실하게 해준다. 방향적으로는 '바깥쪽'이며 '펼침, 방출, 움직임'이다. 행동적으로는 양陽은 '움직임'이다. 이러한 양의 의미는 사람의 사주팔자 내에서 성격적, 행동적으로 작용한다. 그렇다면 사주팔자에 양陽이 많은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 뜨거운 사람이고 더위를 잘 타는 사람이고 가만히 못 있는 사람이고 생각보다는 행동이 앞서는 사람이다. 음양陰陽만으로도 그 사람의 기본 특성이 파악이 되는 것이다. 또 운에서 양陽의 운이 흐르면 마찬가지로 양陽의 특성이 나타남을 읽으면 되는 것이다.

 

음은 여성, 여성성, 여성적이고 양은 남성, 남성성, 남성적이다. 양적인 요소가 아주 강한 여성과 음적인 요소가 아주 강한 남성이 실제 비슷한 성향을 가지지만 그래도 그 성별이 바뀌진 않는다. 음은 음, 양은 양이란 말이다. 현대사회에서는 게이나 레즈비언이라는 새로운 성별이 존재하고 이들이 태생부터 제3, 제4의 성을 가지고 태어났다고 하지만.. 사주명리학적으로는 신의 실수 따위가 아닌.. 이들이 120년을 생존한다면 그냥 남자, 그냥 여자로 사는 세월이 존재하게 된다. 외국에서 젊을 때 일반인과 사랑을 하다가 중년 이후 성소수자의 삶을 살게 되는 이들이 이 명리학적인 이론을 뒷받침한다. 하지만 이런 관찰은 필자가 정통사주명리학 이론에 현대사회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삶을 대입해서 얻어낸 연구의 결과물로 일반적인 명리학자들이 범접하지 못한 부분으로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게이나 레즈비언들에게 자신들의 사주를 볼 수 있는 사람을 필자 이외엔 본적이 없다고 들어 왔기에 자신있게 언급하는 것이다.

 

오행五行인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에서 목木과 화火는 양陽이고 금金과 수水는 음陰이다. 토土는 중성中性이라 하지만 완전한 중성中性이 아닌 음양陰陽의 기질이 혼재되어 있는 것이다. 22 간지干支 중 목木에 속하는 갑甲, 을乙, 인寅, 묘卯 중 갑甲과 인寅은 양陽이고 을乙과 묘卯는 음陰이다. 항상 음陰과 양陽은 같이 존재하는 것이다. 병丙, 정丁, 사巳, 오午 중 병丙과 사巳는 양陽이고 정丁과 오午는 음陰이다. 무戊, 기己, 축丑, 진辰, 미未, 술戌 중 무戊와 진辰과 술戌은 양陽이고 기己와 축丑과 미未는 음陰이다. 경庚, 신辛, 신申, 유酉 중 경庚과 신申은 양陽이고 신辛과 유酉는 음陰이다. 임壬, 계癸, 자子, 해亥 중 임壬과 해亥는 양陽이고 계癸와 자子는 음陰이다.

 

 

 

by 이동헌 - leedongheon.com

 

PS. 이 글이 올라가고... 시간이 허락해 준다면 일주일에 한편 이상, 그렇지 않다해도 적어도 한편의 사주명리학을 공부할 수 있는 글이 올라갈 것이다. 올라올 글들은 원래 '원샷원킬 사주'이후에 '원샷원킬 사주-기본편'으로 쓴 원고인데 필자가 너무 바빠서 출판사와 출판작업을 할 시간이 없어서 고여있던 글이다. 인쇄는 나중에 해도 기다리시는 분들이 많으니 온라인에 먼저 올려드리는 것이다. 모두가 올라가고 나면 사주명리학의 가장 스텐다드한 기본서가 될 것이라 의심치 않는다. 이렇게 올리는 작업도 한권 전체를 기획, 편집하는 것에는 못미치지만 나름 시간이 필요한 일이라 한꺼번에 다 못 올려드리는 것에 양해를 구한다. 하지만 한편 한편이 가지는 행간의 의미가 깊으므로 한편을 모두 외우고 생각하기에 사실 일주일이 부족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한번 주욱 읽으면 몇 분도 안걸리겠지만 말이다. 이렇게 필자는 오늘도 행동하려 노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