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포태법'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9.02.01 12운성十二運星

12운성十二運星

사주명리학 by 이동헌 2019. 2. 1. 20:54 Posted by Eastlaw

12운성十二運星

 

 간의 생왕쇠사를 말한다

 

 

 

 

 

12운성十二運星이라는 말을 들어보셨을 것이고 포태법이란 말도 들어보셨을 것이다. 같은 말이다. 사주명리학계에서는 12운성을 봐야 한다 보지 말아야 한다는 논란이 있다. 봐야 한다는 쪽에선 아주 중요하게 사주풀이에 적용해야 한다고 본다. 12운성十二運星은 천간이 地支를 사주팔자 내에서나 대운, 세운 등에서 만났을 때 일어나는 천간 오행의 생왕쇠사生旺衰死를 12가지로 구분하여 운명에 미치는 영향력을 사람이 출생해서 사망할 때까지의 과정에 비유해서 설명한 것으로 인간의 사주팔자를 생로병사의 과정으로 풀이한 것이다.

 

보지 말아야 한다는 쪽에서는 12운성 자체가 사주의 상생 원리에 정면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적용해서는 안 되는 엉터리 이론이라고 한다. 전통 사주명리학의 명맥을 잊고 있는 필자의 입장도 궁금하실 것이다. 필자의 입장은 그때그때 다르다..이다. 사실 필자의 입장에서는 격용이든 용신이든 12운성이든.. 모두가 수학이나 물리학으로 치면 하나의 공식이라는 입장이다. 음양학의 관점에서 보면 굳이 그 공식을 쓰지 않아도 다 풀어낼 수 있는 것을 머리 좋은 사람들이 머리 나쁜 사람들 공부하기 쉽게.. 아니 가르치기 쉽게 만들어 놓은 공식에 지나지 않는다는 생각이다. 다들 수학을 공부해보셔서 아시겠지만 아무리 열심히 수학공식을 외워도 어느 문제의 어떤 풀이에 적용해야 하는지 모르면 못써먹는 게 공식이다. 이것처럼 12운성이나 격용, 용신도 열심히 공부해서 적용해보려고는 하는데 어떨 땐 맞고 어떨 땐 틀리고 하는 것이다. 결론은 굳이 알 필요 없다이지만.. 그러나 저러나 어차피 알고 넘어가야 할 것이니 간략하게나마 필자의 12운성에 대한 설명도 들어보시기 바란다.

 

12운성은 10개의 천간 각각이 12개의 지지와의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만날 때의 상태라고 적용한다. 첫 번째 천간을 갑을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

甲 - 亥 - 장생 - 편인

甲 - 子 - 목욕 - 정인

甲 - 丑 - 관대 - 정재

甲 - 寅- 건록 - 비견

甲 - 卯 - 제왕 - 겁재

甲 - 辰 - 쇠 - 편재

甲 - 巳 - 병 - 식신

甲 - 午 - 사 - 상관

甲 - 未 - 묘 - 정재

甲 - 申 - 절 - 편관

甲 - 酉 - 태 - 정관

甲 - 戌 - 양 - 편재

 

갑이 해를 봤을 때 십신으로는 편인이고 12운성으로는 장생이다. 장생은 태어나는 것이니 시작하는 것이고 뭐라도 시작하고 시작할 수 있는 것이니 좋은 것이라고 해석한다. 그런데 그게 아니라도 갑은 수의 생을 받으므로 수가 있으면 좋다. 어쨌든 사주팔자에 있으면 좋게 해석할 수 있다. 그런데 해의 입장에서 보면 조금 다르게 아니 디테일하게 해석이 된다.

 

甲 - 亥 - 장생
乙 - 亥 - 사
丙 - 亥 - 절
丁 - 亥 - 태
戊 - 亥 - 절
己 - 亥 - 태
庚 - 亥 - 병
辛 - 亥 - 목욕
壬 - 亥 - 건록
癸 - 亥 - 왕

 

일주인 사주팔자 내에 있는 해亥가 장생인 것은 맞지만 그 작용력은 을 대운이나 을 세운에서 사死가 되고 병 대운이나 병 세운에서 절絶이 되며 계癸 대운이나 계세운에서 왕旺이 된다. 이런 면에서 12운성은 사주팔자 내에 있는 각 인자들 자체의 운의 등락까지 따져서 사주를 더 정밀하게 감정하겠다는 의지의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인생에 흥망승쇠가 있듯이 각 인자들도 흥망승쇠가 있다고 보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흥망승쇠의 작용력을 사주 팔자 내에서의 좌표론과 대운 흐름 그리고 세운과 비교해서 관찰하는 연습을 한다면 실제로 좀 더 디테일한 감명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이 12운성 역시도 음양론의 관점에서 바라보면 굳이 따로 적용하지 않아도 적용돼서 해석되기 때문에 기초가 강할수록 12운성의 필요성을 못 느끼게 된다. 

 

 

 

12운성十二運星

 

장생長生 : 모태母胎에서 열 달 동안 자란 태아가 세상世上에 출생出生함을 뜻한다. 장생은 세상에 처음 태어나는 것, 사업이나 일을 시작할 수 있는 운, 제왕 다음으로 좋은 것으로 본다.

 

목욕沐浴 : 세상世上에 출생出生한 후 유아幼兒기에 때를 씻기고 목욕시켜 주는 것이다. 목욕은 태어나서 몸을 보여주고 씻는 것, 이성문제나 움직임 변화하는 운, 일시 하락 운 등으로 본다. 여기서 몸을 보여준다는 의미도 있지만 얼굴을 보여주는 일이나 직업이라는 의미도 가진다.

 

관대冠帶 : 성장成長하여 성복成服하고 띠를 매며 관冠을 쓰고 결혼 함을 나타낸다. 관대는 목욕 후 옷을 입는 것으로 결혼, 계급장, 완장, 승진 등의 의미로 본다.

 

건록建祿 : 관관冠官이라고도 한다. 한 나라에 출생出生하여 국록國祿을 먹고 벼슬하는 것으로 완전히 자립성가自立成家 함을 뜻한다. 건록은 장성하여 벼슬길에 오르거나 사업을 하는 것으로 좋은 일로 보지만 과욕하면 무서운 운으로도 본다.

 

제왕帝旺 : 일생一生에서 최고로 왕성한 시기時期를 말한다. 제왕은 성장의 절정기이자 가장 왕성한 운으로 내적으로는 미래를 위한 축적이 필요한 운이라고 말해주어야 한다.

 

쇠衰 : 왕旺한 때가 지나 노쇠해 가는 시기다. 쇠운은 왕성한 시기 다음에 오는 손실이 시작되는 시기, 쇠퇴기로 본다. 

 

병病 : 노쇠老衰하면 시들고 생기가 사라지니 병이 드는 시기이다. 병운은 쇠퇴 이후 병을 조심해야 할 시기와 운으로 본다.

 

사死 : 병病이 들면 생명生命이 다해 죽는다. 사운은 엎드려 가만히 있고, 다음을 기다리며 준비하는 기간 즉 죽음과 같은 운이다.

 

묘墓 : 인생人生이 사死하여 장사를 지내고 묘중墓中에 묻혀 있는 것과 같은 시기다. 묘운은 땅 속에 묻을 말하는 운이나 노인에게는 묘가 오히려 좋은 운이라고 본다. 운과 시가가 같기 때문이다.

 

절絶 : 묘墓에 묻혀서 육체가 소멸하면 한 인간의 일대기가 일주一週하여 끝마쳤다고 본다. 이는 완전한 끝이지만 다음 인생의 일주를 시작하기 직전에 해당하니, 인간의 생명生命이 모태母胎에 입태入胎하기 직전의 부모父母 결합 시기時期로 절처봉생絶處逢生을 뜻한다. 절운은 모든 게 끊어진 상태이므로 이후까지의 오래 정체되는 기다림의 운이라 본다.

 

태胎 : 부모父母의 결합으로 정자와 난자가 서로 만나 모친복중母親腹中에 입태入胎함을 나타낸다. 태운은 잉태를 말하는 것으로 새로운 일을 시작하기 좋은 운으로 본다.

 

양養 : 한 생명生命이 모태母胎에서 점차 성장成長하여 자라는 과정이다. 양운은 천천히 안전하게 자라는 시기, 성장을 위한 변화를 모색하는 운으로 본다.

 

 


by 이동헌 - leedongheo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