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2018/07/19'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18.07.19 경庚 - 일곱 번째 천간天干
  2. 2018.07.19 기己 - 여섯 번째 천간天干

경庚 - 일곱 번째 천간天干

사주명리학 by 이동헌 2018. 7. 19. 09:30 Posted by 인컨설팅

경庚 - 일곱 번째 천간天干
사주팔자 내에 경이 있을 경우와 경일간에 대한 설명

 

 

 

 

 

 

 

경庚은 오행五行 중 양陽의 금金에 해당하며 열개의 간지干支 중 일곱 번째 간지다. 위에 먼저 쓰는 간지라서 하늘 천天자를 붙여 천간天干이라고 한다. 22 간지는 자연현상을 관찰하고 인간도 자연의 일부이기에 인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구로 도입된 것이므로 간지를 처음 접할 때 가장 먼저 생각해야 할 점은 자연의 어떤 부분에서 이 간지를 가져왔는가 하는 점이다.

 

경庚은 오행으로 금金이다. 그것도 양陽의 금金, 양의 금이란 어떤 개념일까? 당연히 이 경도 자연에서 가져온 자연을 대표하는 인자일 것이다. 자연에서 경에 해당할 때의 현상은 벼엔 잘 익은 쌀알이 주렁주렁 달려 있고 하늘은 구름 한 점 없이 화창한 천고마비의 계절이다. 우리는 흔히 구름 한 점 없는 화창한 가을 하늘 아래 사과나무에 달린 잘 익은 빨간 사과를 보면서 완벽하구나.. 하고 감탄하게 된다. 그게 바로 경이다. 완전한 상태, 완벽한 상태, 완성된 상태.. 그래서 경을 가진 사람은 자기 것을 좋아하고 완성된 걸 좋아하고 변화나 미완을 싫어한다. TV에서 완성도에 집착하는 장인들이 하는 행동을 우리는 보아왔다. 도자기를 굽는 도예가가 우리 눈엔 훌륭해 보이는 도자기를 깨어버리거나 열과 성의를 다해 만든 작품을 가차 없이 부수는 예술가들의 행동이 바로 경의 행동이다. 그래서 경을 가진 사람은 도끼를 하나 가지고 사는 사람이고 항상 휘두를 준비도 되어 있다. 의리에 목숨 걸고, 자신의 생각과 다르면 그것을 고치려는 오지랖도 넓다. 강자에 강하고 약자에 약한 면도 있다. 겉은 강하고 단단해 보이지만 감성을 자극하면 눈에 눈물이 고일 정도로 속은 여리고 감성적이다.

 

다듬어지지 않고 세련미와는 거리가 있는 경우가 많아서 촌놈 소리를 듣고 사는 사람도 많다. 새로운 걸 싫어하고 오래된 것을 선호해서다. 사실은 자신이 완성형이기에 새로움이 필요가 없는 것이다. 낡은 것이나 필요 없는 것도 버리지 못해 여기저기 쳐 박아 놓고 살기도 한다. 이건 물건에 대한 의리 때문이다. 새로운 물건뿐만 아니라 새로운 환경도 싫어해 낯선 곳에 가는 것도 싫어한다. 새로운 사람을 만나는 것까지 싫어해 고립되기도 한다. 새로운 일도 싫어해 돈이 되던 말던 하던 일만 주구 장창하 기도 한다. 이런 면은 세상의 변화를 따라가기 힘들게 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하고 싶은 일은 꼭 하지만 그것도 마음에 들지 않으면 금세 포기해 버린다.

 

사주에 경庚자가 있는 자체로 아래의 단어가 이 사람의 성격과 직업을 정하는데 작용하게 된다. 철강, 철재, 금속, 철물, 광업, 탄광, 광산, 기계, 방앗간, 재봉틀, 증기, 파이프, 조선, 차량, 고물, 바위, 도끼, 경찰, 검찰, 보안, 경비, 군인, 폭력, 가공되지 않은 것 등에 관심이 많다.

 

두 개 이상 있는 사람들 중에는 일생에 한 번은 크게 다치는 사람이 많다. 그리고 너무 고립되는 성격이 사람이 많다. 오픈해서 교류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경庚은 신체 중 대장과 손톱, 발톱, 치아다.

 

 

 

경庚이 사주팔자에 없을 경우

 

경庚은 가을이면서 저녁이며 거기에 결실을 동반하는 인자인데 그 경이 없다는 건 결실이 약하게 된다. 그리고 마무리가 없다는 건 결단력이 없고 마무리하는 능력도 약하다고 본다. 경은 금金인데 金은 돈, 재산, 결실, 추수와 연관되어 있으므로 이런 것들과 인연이 약하게 된다. 금金이 없으면 목木을 잘 사용할 수가 없고, 화火는 극을 하지 못해 할 일이 없게 된다. 수水는 근원을 잃으니 시간이 지나면 고갈된다.

 

 

 

경庚일간일 경우

 

양금陽金으로 의義에 해당한다. 경금庚金이 일간이면 경庚이 의로움을 나타내는 십간이라 살아가면서 잘못된 것을 고치려는 기질이 강하며, 강자에 강하고 약자에 약한 면이 있다. 너무 강하면 경금庚金이 제어가 되지 않으니 의義를 중시하는 면이 지나쳐 폭력적인 일에 가담하게 될 정도로 성격이 잔인할 수 있다. 너무 약하면 의로움에 반하게 행동하려는 마음이 생길 수 있으며, 또 정신적으로 안정이 안 되는 경우가 많다.

 

자기 위주로 생각해서 자신의 완성형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일단은 타인들에게 너그럽다. 하지만 자신의 생각에 반할 경우 말을 아주 강하게 하기 때문에 주변의 사람들이 떠나간다. 경 인간인 사람이 주변에 사람이 없어지는 걸 느낀다면 이유가 자신의 말에 있음을 자각해야 잘 살 수 있다.

 

-가을의 시작이다. 음이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때다. 결실과 수확의 계절로 접어든다.

-다듬어지지 않는 바위나 쇠다. 양금陽金으로 단단하고 고집 있고 세련미 없다.

-천진하고 사심이 없으나 우직한 면이 있다.

-바위는 처음 움직이는 것이 어렵지 구르기 시작하면 거침없이 구른다.

-경금庚金은 매사에 손해나 피해를 당하더라도 밀고 나가 끝장을 보려 한다. 어떻게 보면 답답하다.

-자기주장을 포기하는 것을 치욕으로 생각한다. 이는 갑목甲木과 닮은 점이다.

-경금庚金은 새로운 환경을 꺼려한다. 새로운 사람도 못 사귄다.

-새로운 일도 좋아하지 않고 하던 일만 계속한다. 한마디로 변화를 싫어한다.

-하고 싶은 일은 기어코 하지만 마음에 들지 않거나 하고 싶었던 일이 아니면 쉽게 포기해 버린다.

-경금庚金은 이런 보수적 성향 때문에 세상의 변화에 어둡다.

-고집스럽고 우직하고 단단한 맛이 있다.

-천간에 두 개 있으면 성질이 더욱 강해진다.

-두 개 있으면 다듬어지지 않는 금속끼리 부딪치는 모습과 같다.

 

경庚이 가장 좋아하는 천간은 유연한 을목乙木이다. 그래서 을경합乙庚合 금金이 된다. 이 합을 인의지합仁義之合이라 하는데 완연한 봄과 수확의 계절 가을의 만남으로 좋은 결실을 의미한다. 합은 뒤에  다시 설명한다.

 

 

 

경庚일간의 건강

 

경庚일간이면 경庚이 대장이므로

봄 태생이면 골절상이나 신경통에 약하다.

여름 태생이면 피부질환이나 만성 대장 설사증에 약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가을 태생이면 강한 편이지만 기관지에 병이 생길 수 있다.

겨울 태생이면 축농증과 치질에 약한 체질이다.

 

 

 

 

by 이동헌 - leedongheon.com

기己 - 여섯 번째 천간天干

사주명리학 by 이동헌 2018. 7. 19. 08:29 Posted by 인컨설팅

기己 - 여섯 번째 천간天干
 사주팔자 내에 기가 있을 경우와 기일간에 대한 설명

 

 

 

 

 

 

기己는 오행五行 중 음陰의 토土에 해당하며 열개의 간지干支 중 여섯 번째 간지다. 위에 먼저 쓰는 간지라서 하늘 천天자를 붙여 천간天干이라고 한다. 22 간지는 자연현상을 관찰하고 인간도 자연의 일부이기에 인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구로 도입된 것이므로 간지를 처음 접할 때 가장 먼저 생각해야 할 점은 자연의 어떤 부분에서 이 간지를 가져왔는가 하는 점이다.

 

기己는 오행으로 토土이다. 그것도 음陰의 토土, 음의 토란 건 어떤 개념일까? 당연히 이 기도 자연에서 가져온 자연을 대표하는 인자일 것이다. 자연에서 기己를 관찰할 때 정丁과 유사한 점이 너무 많아서 그 구분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혹자들은 사주명리학 각종 이론에서 정과 기를 같은 것으로 쓰기도 한다. 하지만 이는 아주 잘못된 것이다. 이론 적용을 같이 할 수는 있어도 해석까지 같이 하면 안 되기 때문이다. 정과 기의 공통점 표나지 않음이다. 정은 온도나 열기라고 말했다. 기도 마찬가지로 일정 온도와 열기는 가지고 있다. 하지만 표는 나지 않는다. 같은 토인 무는 팽창과 독특함의 대명사이지만 기는 가만히 있는 방향을 택한다. 그냥 모래, 흙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굳이 먼저나서서 누구와 어울리려 하지 않고 그냥 서서 지켜본다. 기는 그래도 재미있다고 생각한다. 이해가 안된다고? 그래, 그렇다. 기는 이해할 수 없는 인자이다. 그냥 가만 있는 인자이다. 하지만 그 기로 할 수 있는게 너무 많다. 흙으로 어떤 모양의 도자기라도 만들 수 있는 것 처럼 기가 마음먹고 무언가를 하면 최고가 된다. 아무것도 관심없고 하지 않을 땐 그냥 무능 덩어리로 보이지만 무언가 관심을 가지고 하게 되면 최고의 능력자가 되는 것이다. 하지만 모든 걸 다 잘할 순 없다. 그냥 자신이 관심있는 몇가지만...

 

신뢰와 정으로 넘치는 면을 가진다. 그만큼 남을 잘 챙기는 인자를 가지고 있지만 그런 면이 크게 어필되진 않아 섭섭할 때도 많다. 대인관계에선 주도도 비주도도 아닌 중립적인 면이 강하다. 사람들에게 잘 다가가지만 어울리기는 쉽지 않다. 항상 주변에서 있는 듯 없는 듯 존재한다. 편안해 보이는 사람이고, 많이 본 듯한 인상의 사람이다. 누군가 끌어준다면 금세 적응한다. 하지만 편 가르기가 시작되면 슬 뒤로 물러나는 사람이다. 항상 사람들의 주변에 있고 많은 것을 보고 듣기 때문에 아는 것이 많지만 말하는 경우는 잘 없다. 지켜야 할 비밀이 있다면 끝까지 지켜주는 사람이다. 무언가를 가두는 포용력과 밖으로 표출하지 않는 능력의 산물이다. 하지만 그와 상관없이 항상 안절부절못하는 면, 의심하는 면을 가지고 산다. 혼자만 알고 있는 걸 들켜 엉큼하단 말도 듣는다.


사주에 기己자가 있는 자체로 아래의 단어가 이 사람의 성격과 직업을 정하는데 작용하게 된다. 중개자, 논밭, 담, 성벽, 묘지, 도로,  바둑, 도자기, 기와, 벽돌 등에 관심이 많다.


두 개면 하는 일에 장애가 자주 발생한다.


기己는 신체 중 비장과 근육과 살이다.

 




기己 사주팔자에 없을 경우

 

기己가 사주에 없다고 해서 발생하거나 결핍되는 결정적인 사항은 없다. 



 


기己일간일 경우

 

己土가 일간이면 신信을 중시하는 점은 무토와 같으나 기토 자체는 십간 중에서 정情을 중시하는 면이 가장 강하다. 다정다감함이 지나치면 살아가면서 곤란한 일이 자주 생기게 되는데, 천성이 자기 것을 챙기기 보다 남을 위하는 마음이 앞서기 때문이다. 너무 강하면 질투심이 강하고 사람을 의심하는 버릇이 있을 수 있고, 너무 약하면 친구를 배신하게 될 정도로 사람들의 말이나 환경에 자주 흔들리게 된다.


-음의 토土로서 음 운동의 시작점이다. 기토己土에서부터 금수金水운동이 이어진다.

-같은 토土이지만 戊土와 己土는 다르다. 보통 무토戊土를 지리산 같은 큰산이라 한다면 기토己土는 논밭이다.

-기토己土는 옥토 논밭처럼 인간이 만든 땅이다.

-기토己土는 어머니 대지 같은 존재이다. 그래서 기토己土는 포용력이 좋다.

-있는 듯 없는 듯하지만 편안함이 있고 어루만지는 힘이 있다.

-나서지 않고 잘 듣는 편이다. 사시사철 제자리에 있는 논밭을 생각하라.

-불만이 있어도 참고 이해한다. 그래서 모두가 己土를 싫어하지 않는다.

-속으로 많은 것을 알면서도 좀처럼 드러내지 않는다.

-다른 사람들이 믿고 이야기하고 의지하려 한다.

-대개 음간들이 그렇지만 기토己土도 자기주장이 강하지는 않다.

-화나면 무섭다. 잘못 건드리면 크게 다칠 수 있다. 그러나 그런 경우까지 가는 건 드물다.

-기토己土를 싫어하는 천간이 있으니 임수壬水다. 기토己土에 의해 물이 흐려진다.(기토탁임己土濁壬)

-기토己土는 갑목甲木을 좋아한다. 갑목甲木은 기토己土에 뿌리를 박고 성장한다.

-물론 을목乙木도 기토己土를 좋아한다. 기토己土는 모든 목의 사랑을 받는다.

-음양 운동에서 음 운동을 시작하는 천간이 된다.

-무토戊土가 마른 건토乾土라면 기토己土는 축축한 습토濕土이다.

-두 개면 기토己土의 성질이 더 강해져 하는 일에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기己가 제일 좋아하는 천간은 부드러운 갑甲이다. 그래서 갑기합甲己合 토土가 된다. 이 합을 중정지합中正之合이라 하는데 지상의 목과 땅의 토가 만난 가장 이상적인 합이다. 합은 뒤에 다시 설명한다.





기己일간의 건강

 

기己가 췌장이라 신경성 소화불량이 걸리기 쉬운데 천성이 다정다감한 편이라 그렇다.

봄 태생이면 그런 경향이 더욱 강해 이유 없이 체하는 증세로 건강이 안 좋아질 수 있다.

여름 태생이면 기운이 강해 지므로 무난한 편이나 너무 더워지면 음식을 지나치게 섭취하다 당뇨에 걸리기 쉽다.

가을 태생이면 식욕은 좋으나 이로 인해 자칫 알레르기로 고생할 여지가 있다.

겨울 태생이면 만성체증과 비염으로 고생하기 쉽다.




 

 

by 이동헌 - leedongheo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