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개인 상담을 요청하는 젊은 엄마, 아빠 중에는 아이의 ADHD, '주의력 결핍 및 과잉 행동 장애'를 호소하는 분들이 많다. 반면에 아주 느린 아이들에 대한 문제의식도 많은 편이다. 느린 아이들에 대한 글은 앞에서도 여러번 포스팅해서 도움을 받았다는 분들이 있었지만, ADHD에 대한 사주명리학적 이해에 대한 글은 올린 적이 없었던 것 같다. 필자는 심리학과 사주명리학의 연관성을 연구하기 위해 전세계에서 발표되는 심리학 분야의 논문들을 챙겨보는데, 최근 ADHD에 대한 흥미있는 논문을 발견했다. 그 논문이 내게 흥미로운 이유는 평소에 필자가 주장한 ADHD가 아이들의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심리학적, 의학적으로 확인시켜 주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케네디 크리거 연구소(Kennedy Krieger Institute) 소아과학 신경심리학과 리사 제이콥슨 박사에 따르면 ADHD 증상은 여자아이와 남자아이에게서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데, 그건 뇌의 백질 미세구조가 다르기 때문이라고 하며, 이 뇌의 백질 미세구조 연구를 통해 향후 ADHD를 예측할 수 있게 될 것이라 한다. 필자가 주목한 부분은 실제로 이렇게 의료기기에 의해 확인된 생물학적인 차이가 사주명리학으로도 확인되는가 하는 점이다. 기회가 되면 이들과 교류할 필요성을 느끼는 대목이다. 하지만 필자는 현재에도 의학적으로 ADHD 판정을 받은 아이들을 사주로 판별하고 있고, 또 그렇게 판정받았으나 실제로는 ADHD가 아닌 아이들의 경우 ADHD가 아니므로 다르게 그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 방법이란 건 대부분 정서적인 교감방법이나 운동, 음악 등과 아이에게 의욕을 줄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단서제공, 사는 지역의 변화 등이다.

 

필자가 이 부분에 주목하는 이유는 자식을 둔 부모마음을 악용하는 무당과 사주쟁이들 때문이다. 그런 아이들을 치유할 노하우도 없는 것들이 자식을 위하는 부모의 마음을 악용해서 큰 비용을 요구하거나 효과도 없는 부적, 제사 등을 강매하기 때문이다.

 

아동심리학자인 캐스린 무어박사는 여자아이와 남자아이의 ADHD 증상이 다르다고 말하는데, 여자아이는 주의력 결핍이 강하게 나타나고, 남자아이는 과잉 행동이 강하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필자는 지금까지 여자아이의 경우 주의력 결핍행동 80% 정도와 괴성을 지르거나 과잉행동 20%정도이고, 남자아이의 경우 그 반대일 경우 ADHD 증상이라고 봐 왔다. 주의력 결핍행동은 그냥 멍하게 있는 것을 말하고, 과잉행동은 괴성을 지르거나 가만 있지를 못하는 행동양상을 말한다. 이런 ADHD증상은 음양의 괴리에서 발생하게 되는데 여자아이의 사주는 너무 냉기인 금수에 치우쳐 있으면서 대운 역시 금수로 흐를 경우, 남자아이의 사주는 너무 양기의 목화에 치우쳐 있으면서 대운 역시 목화로 흐를 경우에 나타나게 된다.

 

필자가 생각하기에 일반적인 부모들의 ADHD증상에 대한 대응은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보통 ADHD증상을 아주 과격하게 행동하거나 과격하진 않지만 잠시도 가만히 있지 않는 경우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실제 가만히 있는, 주로 여자아이나 내성적인 남자아이에게서 보이는 어찌보면 만사가 귀찮은 형태의 ADHD 증상을 앓고 있는 아이들을 그냥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 사실 필자는 ADHD를 너무 과잉대응하는 것보단 그냥 방치하는 것이 아이에게 더 좋은 경우가 많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표현하지 않는 ADHD증상 아이들을 그냥 방치하면 나중엔 돌이킬 수 없는 인격적, 지적 결함을 가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실제로 아주 악질적인 범죄를 저지런 대부분의 사이코패스들이 조용했다는 건 이를 반증한다. 그런 범죄를 저지를 정도로 심각해 지진 않더라도 수많은 부모들이 자신의 아이들이 어느날 갑자기 돌변했다고 말하는 경우 많은 수가 이렇게 표현하지 않는 ADHD증상을 겪던 아이들이 드디어 행동하기 시작할 때다.

 

항상 하는 말이지만 자기 자식을 잘 아는 부모도, 자기 부모를 잘 아는 자식도 잘 없다. 항상 붙어서 살다보니 그냥 자신의 맘이 편하면 좋고 자신의 마음이 불편하면 나쁘다고 생각할 뿐이다. 가정적인 평가와 사회적인 평가가 다른 사람들이 많은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다시한번 내 아이를 관찰해 보자. 가만 있는 저 아이가 과연 마음까지 편해서 가만 있는 것인지, 그냥 가만 있는게 마음 편해서 그러는 것인지 말이다. 후자라면 대화를 통해, 다른 방법이라도 찾아서 마음을 편하게 만들어 줘야 한다. 부모라면 말이다.

 

 

 

인컨설팅 역학연구소    이동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