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다중지능'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7.04.21 사주팔자, 사주명리학에서.. 무無, 없다는 것의 의미 9

초등학생들도 아는 한가지가 있다. '영, 제로, zero, 0, 무無'가 인도에서 발명됐다는 사실이다. 실제로 완전히 없음을 말하는 '0, zero'를 사용하는 인도에서는 '0'을 사용하지 않고는 할수 없는 대수학이 크게 발달되었다. 현대에도 인도인들이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최고의 실력을 자랑하는 것 역시 이 '0'을 발명한 전통 때문이라고 필자는 생각한다. 초등생들이 이 사실을 잘아는 이유는 요즘 워낙 교육교양만화책들이 넘쳐나서다. 수학에 흥미를 가지게 하기 위한 책들 덕분이다.


'0'을 인도가 발명했어? 그럼 서양이나 중국, 한국, 일본엔 0이 없었단 말인가? 이런 생각이 떠오르지 않는가? 정말 '0'이 없었다면 어떻게 숫자를 사용했을까? 이런 궁금증이 생기지 않는가? 


동양철학은 음양을 베이스로 한다. 그 많이 말 해온 음과 양은 실제로 동아시아인들의 생활전반에서 활용되어 왔다. 쌀독이 있다. 쌀이 가득차 있던 쌀독에서 쌀을 퍼내다 보면 나중엔 쌀독의 쌀이 사라지게 된다. 그럼 쌀이 들어있지 않는 독이니 이젠 쌀독이 아닌건가? 이제 쌀독이라 부르면 안되나? 뭔소리 하나 하실거다. 쌀이 들었든 안들었든 쌀독은 쌀독이라 그렇다. '영, 제로'라도 있다고 보고 그걸 없다고 하지 않고 비었다고 한다. 그래서 생활에서는 '영'이 없어도 살아가는데엔 아무 문제가 없다. 흔히 동양의 미를 여백의 미라고 하고 비움의 미라고도 한다. 동양화를 보면 서양그림과 달리 그림과 글 이외의 부분은 그냥 빈채로 둔다. 그 여백도 그림의 일부인 것이다. 이런 걸 보고 동양에도 '영'이 있는게 아닌가라고 말할 수 있지만 여백은 영이 아니다. 검은 색 붓이 양이라면 백색 종이는 음인 것이고 그 백색 음이 있기에 검은 색 양이 빛을 발하는 것이다. 그러니 그 여백은 '영'이 아니고 '음', 빈것인 것이다.


사주를 보고 나서 나는 목이 없어서 어떻다. 화가 없어서 어떻다. 토가, 금이, 수가 없어서 어떻다란 말을 많이 한다. 또 재가 없어서, 식상이 없어서, 관이, 인이, 비겁이 없어서 어떻다란 말도 많이 한다. 그러니 재가 없으니깐 사업은 절대하면 안되고, 식상이 없으니깐 무자(무자식)팔자이고, 관이 없으니 직장이 없고, 인이 없으니 공부를 안한다고 말하기도 한다. 이렇게 말하는 철학관이나 역학자를 본다면 이렇게 생각하면 된다. 검은 건 글이요, 흰건 종이라고만 아는 사람이라고 말이다. 이런 사람들이 자신이 절대 아니라고 한 일이 일어나면 들고 나오는게 지장간과 이면이고 허자다. 눈에 보이지 않는 걸 없다라고 해놓고는 눈에 현상으로 드러나면 숨어 있었다라고 둘러대는 것이다.


목 화 토 금 수,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비견 겁재 식신 상관 편재 정재 편관 정관 편인 정인 오행, 10천간, 12지지, 십신은 사주명리학을 만들 때 인간사를 구성하는 필수요소라고 만든 것이다. 완전한 기형으로 태어난게 아니라면 사지육신이 본래부터 없는 사람이 없듯이 오행, 10천간, 12지지, 십신 중 어느하나라도 제로, 영인 사람 즉 '무無'인 사람은 없다. 그게 동양철학의 기본 원리이자 사주명리학의 기본원리이다. 그럼 사주명리학에서는 없음을 어떻게 해석하나 하나하는 궁금증이 생길 것이다. 오른 손이 다쳤다. 그래서 왼손으로 밥을 먹었다. 그런데 왼손도 다쳤다. 그럼 밥을 굼나? 입으로 먹든 발로 먹든 팔로 먹든 어떻게든 먹을 것이다. 안되면 지나가는 사람이라도 불러 먹여달라고 할 것이다. 그런데 부를 사람도 없다면? 사람이 있는데로 움직여야 한다. 움직이지도 못한다면? 그럼 그때 죽는 것이다. 이 죽음 역시도 사주에 위험 운이 나와있게 된다. 그러니 없다면 대신 무엇을 써는지를 봐야하고 그걸 모른다면 제대로 사주를 보는 사람을 찾아서 물어서 살아야 한다. 


그럼 뭐가 없어서 뭐를 못한다는 말들에 반론을 제시해 보자. 재가 없으니 돈이 없다. 이건 그냥도 틀린 말이다. 현대사회에선 돈이 피다. 피가 없으면 죽은 사람이듯 하루도 돈 없이 살아갈 수 없을 정도로 돈이 중요하다. 산 속에 전기도 없이 혼자서는 사람들을 찾아가는 TV프로그램을 봐도 돈 한푼없이 사는 것 같지만 다들 돈을 사용한 흔적들이 보인다. 거기서도 크지야 않겠지만 산에서 약초를 캐서 팔든 어떻게든 먹고 살 돈을 벌고 있단 말이다. 그리고 전형적인 의사사주엔 재가 없다. 돈 생각하면서 어떻게 생명을 다루겠나? 하지만 의사가 현대사회에서 제일 돈 잘버는 직업이다. 어떻게 설명하겠나? 그러니 사주에 없는걸 없다고 하면 안되는 것이고 사주에 없는 것을 어떻게 만드는지를 알아내는 것이 사주를 보는 목적이 되어야 한다.

 

하버드 대학의 교육심리학 교수 하워드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란 책을 보면 인간은 '음악지능, 신체운동지능, 논리수학지능, 언어지능, 공간지능, 인간친화지능, 자기성찰지능, 자연친화지능 등'의 8개이상의 지능을 가지는데 선천적으로 특정 지능이 약할 수도 있고 뇌를 다치거나 충격을 받아서 위 기능 중 특정 기능을 사용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인간은 그때 사라진 지능에 해당하는 행동들을 못하는게 아니고 다른 지능들을 이용해서 약하거나 상실된 지능이 담당하는 행동을 하고 있다고 한다. 이 하워드 가드너의 이론은 인간이 사주에 없는 인자로 인해 뭐가 없거나 무얼 못하는게 아닌 다른 인자를 통해서 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니... 당신 사주에 뭐가 없다고 뭐를 못하고, 뭐는 안되고 하는 것은 아니다. 당신 사주에 없는 건 남들보다 비어 있는 것이니... 다른 걸로 채우는 노력을 하면 더 가득 채울 수도 있을 것이다.

 

 

 

인컨설팅연구소    이동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