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명리학을 공부하시는 분들이 가장 염두에 두는 부분이 과거와 현재의 사주해석을 어떻게 달리 적용할 것인가이다. 필자처럼 4천명에서 1만명 정도의 사주를 10년이상 장기적으로 관찰추적하면서 과거와 현재와의 해석적용의 차이를 연구하는게 아니라면, 달리 적용할 수 있는 범위는 여성의 사회진출 정도 밖에 되지 않는게 현실이기도 하다. 4천에서 1만명으로 편차가 아주 큰 이유는 1만명이상 추적하고 있으나 당장 사정을 파악할 수 있는 사람은 4천명 정도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람이란게 길 지나다가도 만날 수 있기 때문에 나머지 6천명의 근황도 언젠가는 알 수 있을거라 생각하면서 데이터를 보전하고 있다.

 

사주를 보는 방식 중 가장 보편화된 방식은 일간의 강약을 따지고, 월지로 격을 잡은 후, 용신을 찾는 것이다. 일간의 강약은 공부한 사람마다 의견이 분분하고, 격은 무려 8백가지나 되서 정확하게 적용했는지 아리까리하고, 용신은 잡아보고 운이 대발하지 않을 때마다 다른 걸로 바꾼다. 이래서 철학관과 점집이 넘쳐나도 어느정도들 장사가 되는 게 아닐까 싶을 정도로 가는 곳마다 말이 달라지지만 보는 사람은 맞는 곳을 찾아 헤맨다. 어떤 분은 사주가 518,400가지니깐 명리학자들이 모두 모여서 이 가지수의 격과 용신을 픽스시키자고 주장하기도 한다. 가능하다면 동의하는 바이다. 하지만 그렇게 정했다고 같은 삶을 살아갈까? 한 사주의 인생을 모두 맞출 수 있을까? 쌍동이도 다른 삶을 산다고 하고, 같은 사주에 하나는 회장이고 하나는 거지라고 하는데 말이다.

 

사주명리학의 풀이가 안맞는 문제는 자꾸만 사주풀이를 틀안에 가두려는 노력에서 시작한다고 생각한다. 격만 봐도 처음 시작은 10가지에서 출발해서 안맞으니깐 파격이라고 가지수를 늘여가다 800가지가 넘어가고 있다. 용신, 희신, 길신도 마찬가지로 잡을 때마다 안맞아서 이젠 용신이 몇개가 될 수 있다는 말까지 나온다. 그래서 사주명리학을 처음 공부하는 사람들은 이걸 다 외워야 하나하고 생각하고 실제로 이걸 공부하는데 몇년을 그냥 보내기도 한다.

 

사실 사주명리학은 자연현상을 글자라는 틀 안에 가두는데서 출발했다. 처음엔 자연을 두가지로 나누었다. 음과 양. 하지만 그걸로는 설명이 부족했다. 그래서 하늘의 변화를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의 10가지로 나누었고, 땅의 변화를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의 12가지로 나누었다. 그리고 오랜시간의 관찰을 통해 10간 12지의 조합으로 60갑자를 만든 것이다. 그러니 이런 게 생기기 전 사주명리학은 세상만물을 음이다, 양이다로 설명했을 것이다.

 

그럼 왜 나누고 규정하기 시작했을까? 생각해보라. 음과 양이면 설명이 되는 것들을 왜 나누고 쪼개고 규정하고 했을까? 필자는 그 이유를 인구증가라고 생각한다. 사실 사주명리학이란 학문은 인간이 사회를 이루고 살지 않았다면 생겨날 필요도 없는 학문이다. 사주명리학에서 가장 중요한 해석도구가 십신이라는 비겁, 식상, 재성, 관성, 인성인데 이것들은 모두 사람과 사람의 관계를 지칭하고 있다. 이것 역시도 10가지로 친인척 및 친구, 동료를 나눠버린다.

 

옛날 사람들의 삶을 생각해보자. 조선시대로 가보면 지금의 서울자리에 있던 한양의 인구가 10만명이었다고 한다. 지금은 900만명이 산다. 인간 사회의 구조는 예나지금이나 피라미드 구조를 하고 있다. 나이가 들어갈수록 위로 올라가거나 실력이 있을수록 위로 올라가는 구조를 말하는 것이다. 10만명 즈음 살던 때는 그냥 나이만 먹어도 돈도 모이고 살만했을 것이다. 어릴 때 남다른 재주가 있다면 장원급제를 하든 윗사람에게 발탁되어 동기보다 빠른 인생도 가능했을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인구 10만명 일 때도 시장은 한명이고 인구 900만명 인데도 시장은 한명이라는 사실이다. 인구 100명 즈음 되는 마을에 살았다면 누구나 죽기전엔 이장은 한번 해보고 죽을 수 있었겠지만, 인구 1000명이 되면 이장도 아무나 하는게 아니게 되는 것이다. 이해하겠는가?

 

과거와 현재의 사주해석이 달라져야 하는 부분은 이 인구증가에 따른 경쟁강화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요즘도 놀고먹든 어쨌든 용신운이 오면 대발한다고 풀이해주는 철학관들이 많다고 들었다. 하지만 그건 과거의 얘기다. 지금은 그런 놀고 먹는 백수들이 옛날의 100배는 많아졌고 그들 중 놀고 먹지 않고 돌아오는 운을 잡기 위해 심기일전 하는 사람들도 있어서 백수에게 돌아갈 대박운은 더이상 없는 시대가 된 것이다.

 

이런 걸 아는 사주명리학자들이 하는 말이 사주명리학은 심리상담학으로 가야한다는 말이다. 용신이고 성공이고 안맞으니 심리상담도구로나 쓰자는 말인데, 이것도 말이 안된다. 사주는 심리상담하기 위해 만들어진 학문이 아니고 권력을 잡거나 돈을 벌거나 하는 인간 욕망의 성취를 돕기 위해서 탄생한 학문이기 때문이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할까? 지금 사주봐주는 그대로 봐줘라. 다만 용신이든 뭐든 잡아야할 운이나 때를 알려주고 그것을 준비하고 행동하게 만들어라. 인구증가와 함께 경쟁증가로 이젠 더이상 누워서 떨어지는 감을 쳐다봐바야 남들이 다 따가버리니깐 누워있지말고 행동하고 움직이라고 말해줘야 한다. 그리고 쓸때없는 일간강약이나 용신잡는걸로 싸우지 말고 구체적인 행동방법을 공부해라. 간접경험, 직접경험을 통해 사회전반에 대해 알려고 노력해야 제대도 된 상담을 해줄 수 있다. 찾아온 손님의 직업이 뭐하는 건지도 모르는 사람이 어떻게 그 사람의 인생 전반을 상담해줄 수 있겠는가? 사주보러 오는 사람보다 사주봐주는 사람이 더 깝깝한데 무슨 장사가 되겠는가? 당신네들도 행동하고 움직이고 손님들도 행동하고 움직이게 해야 서로 잘 먹고 살 수 있는 시대다.

 

많은 현업에 종사하는 분들이 각종 문의를 해온다. 그 중에서 이 글의 초두에 언급한 현재 적용에 대한 부분이 가장 많아서 이 글로 대신 한다.

'이제 책은 그만 보고 사람과 그 사람이 살고 있는 사회를 보기 바란다.'

 

 

 

인컨설팅 역학연구소     이동헌